괴짜 프로그래머의 일상사~@@
프로그래밍, 컴퓨터, 그리고 일상에 관한 소소한 이야기들...
Blog | Guestbook
Keyword | Local | Tag
T 586 / Y 754 / Total 3471311
Catergories
Calendar
«   2009/03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
엔씨소프트, 데브피아, 운영체제, DDK, 평가, WOC, 하향, 테스트, 라이온 킹, Draw3dRect, 포인터, The fog, 맑은 고딕, 전공, 악성코드, 곽원갑, vim, 플라이트 뮤지엄, 존 레논, 외국인,
Archive
Link
Search
  submit
Recent Articles
Recent Comments
Recent Trackbacks
해당되는 게시물 3건
2009/03/31 13:54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정비석 선생님이 쓰신 초한지가 읽고 싶어서 헌책방을 뒤지다 들고온 책 입니다. 한 장 한 장 넘기기가 참 힘든 그런 책이더군요. 여자들 이야긴데 왠지 심하게 공감이 가는 그런 책. 결혼을 그닥 하고 싶지 않다는 저의 생각에 느낌표를 하나쯤은 더 던져준 책. 씁쓸한 여운이 남는 책. 그런 책이었습니다.
"대체 일부일처제라는 게 인간의 본성에 얼마나 어긋나는 겁니까. 한 인간이 어떻게 한 이성만을 평생 사랑하고 그렇게 산다는 게 가능하기나 한 이야깁니까? 안 그래요?"

이미 식어 버린 커피에 하얀 크림은 섞이지 못한다. 남자와 여자의 이해심도 사랑이 있을 때만 가능하다.

겨울이 와도 생활은 남는다. 원고료를 세고 판매 부수를 걱정하고...... 낡은 바바리를 입은 채 진열장에 걸린 새로운 유행의 바바리 코트를 바라보고, 그런 생활은 끝없이 이어지는 것이었다.

"글쎄...... 아까도 말했지만 결혼생활 어디를 찾아봐도 내가 없었어. 난 한때는 글도 잘 쓰고 공부도 잘하고 꽤 칭찬도 받았던 괜찮은 여학생 이었는데..... 그 남자의 학비가 없으면 나는 어느덧 그 남자의 학비가 되고, 그가 배가 고프면 나는 그 남자의 밥상이 되고, 그 남자의 커피랑 재떨이가 되고, 아이들의 젖이 되고, 빨래가 되고...... 그 남자가 입을 여는 동안 나는 그럿 글들이 되어 있었어. 나는 목욕탕 앞의 발닦개처럼 모든 사람들이 나를 밟고 가도록 내버려 두었어. 하지만 그런 순간에도 말야...... 난 누구보다 내가 똑똑하고 현명하고 그리고 나 자신을 지키는 여자라고 누가 물었다면 맹세라도 했었을 거야. 우습지 않니?"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라는 말이 경전에 나온다고 해서 찾아보니 숫타니파타에 나온 내용이라는 군요. 좋아서 퍼왔습니다. 구절 구절 저를 돌아보게 만드는 말이네요.
서로 사귄 사람에게는
사랑과 그리움이 생긴다.
사랑과 그리움에는 괴로움이 따르는 법.
연정에서 근심 걱정이 생기는 줄 알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숲속에서 묶여 있지 않은 사슴이
먹이를 찾아 여기저기 다니듯이
지혜로운 이는 독립과 자유를 찾아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욕망은 실로 그 빛깔이 곱고 감미로우며
우리를 즐겁게 한다.
그러나 한편 여러 가지 모양으로
우리 마음을 산산이 흐트려 놓는다.
욕망의 대상에서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서로 다투는 철학적 견해를 초월하고
깨달음에 이르는 길에 도달하여
도를 얻은 사람은
'나는 지혜를 얻었으니
이제는 남의 지도를 받을 필요가 없다'고 알아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탐내지 말고, 속이지 말며,
갈망하지 말고, 남의 덕을 가리지 말고,
혼탁과 미혹을 버리고
세상의 온갖 애착에서 벗어나
무소의뿔처럼 혼자서 가라.

세상의 유희나 오락
혹은 쾌락에 젖지 말고
관심도 가지지 말라.
꾸밈 없이 진실을 말하면서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물속의 고기가 그물을 찢듯이
한번 불타버린 곳에는
다시 불이 붙지 않듯이
모든 번뇌의 매듭을 끊어버리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마음속의 다섯 가지 덮개를 벗기고
온갖 번노를 제거하여 의지하지 않으며
애욕의 허물을 끊어버리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최고의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 정진하고
마음의 안일을 물리치고
수행에 게으르지 말며
용맹정진하여 몸의 힘과 지혜의 힘을 갖추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애착을 없애는 일에 게으르지 말며,
벙어리도 되지 말라.
학문을 닦고 마음을 안정시켜
이치를 분명히 알며 자제하고 노력해서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이빨이 억세고 뭇짐승의 왕인 사자가
다른 짐승을 제압하듯이
궁벽한 곳에 거처를 마련하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자비와 고요와 동정과 해탈과 기쁨을
적당한 때에 따라 익히고
모든 세상을 저버림 없이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탐욕과 혐오와 헤맴을 버리고
속박을 끊어 목숨을 잃어도 두려워하지 말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와 같이,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과 같이,
흙탕물에 더럽히지 않는 연꽃과 같이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 '숫타니파타' 中 ...


TAG : 소설
2009/03/16 14:10
중요한 것은, 스레드는 계속 생성된다는 거...
얼마 전에 버그를 수정하다 신기한 현상을 하나 발견했습니다. 물론 지금까지 저만 멍청하게 생각하고 있었던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ㅋㅋ~ NtQuerySystemInformation이란 함수와 관련된 건데요. 아마 다른 함수들에도 적용이 될 것 같습니다. NtQuerySystemInformation 함수는 시스템 정보를 구해오는 함수입니다. 보통 프로세스 목록이라든지, 스레드 목록, 드라이버 목록 등과 같은 정보를 얻을 때 사용하는 함수죠. 이러한 종류의 윈도우 API를 사용할 때에는 한 가지 원칙이 있습니다. 바로 버퍼 크기를 먼저 구하고 할당한 다음 사용하라는 것이죠. 프로세스나 스레드가 몇 개가 떠 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통상적으로 아래와 같은 패턴으로 만들게 되죠.

[CPP]DWORD required, size = 0;
PVOID buffer = NULL;
NtQuerySystemInformation(buffer, size, &required);

size = required;
buffer = new BYTE[size];
NtQuerySystemInformation(buffer, size, &required);[/CPP]
물론 NtQuerySystemInformation 함수의 인자가 저렇게 단순하진 않습니다. 예시는 핵심만 보여주기 위해서 버퍼, 버퍼 크기, 필요한 크기로 인자를 가정하고 표현해 본 것이죠. 거의 대부분의 경우에 위 코드는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하지만 특정 경우에 두 번째 호출이 실패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물론 다른 이유도 아니 버퍼 크기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말이죠.

왜 그럴까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처음 NTQSI를 호출한 시점과 그 다음 NTQSI를 호출한 시점의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었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스레드 목록을 구한다고 한다면, 그 사이에 스레드가 추가적으로 생성된 경우입니다. 어쨌든 저런 식의 코드는 아주 정상적인 환경에서도 실패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셈이죠.

이런 결함을 없애기 위해서는 결국은 루프를 돌아야 합니다. 정상적일 때까지 말이죠. 물론 가져온 버퍼 크기보다 조금 더 할당하는 꼼수를 사용한다면 루프 회수를 줄일 수는 있겠죠. 같은 원리로 미리 할당된 버퍼를 사용한다면 함수 호출 회수를 더 많이 줄일 수 있습니다.

2009/03/03 15:28
이사크리와 보일러 설명서
2년간 거주했던 부천에서 서울로 이사를 왔습니다. 원래 이사를 하려고 하기도 했었는데, 집주인 아저씨가 처남이 오피스텔에 살기로 했다고 빼달라고 해서 부득이 급하게 이사를 감행하게 되었습니다. 그 때문에 한 2주간 정신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짐이랄 것도 없는데도 막상 싸서 이사하려고 하니 장난 아니더군요. 여튼 여차저차해서 무사히 어제 이사를 마쳤습니다. 싸온 짐도 대충 정리하고, 아직은 미완성의 상태이지만 곧 완성되겠죠. ㅎㅎ~

집에 들어가니 이것저것 있는데 어쩌다 보일러 설명서를 보게 되었습니다. 첫 입주라 그런지 보일러 조작기 옆에 꽃아 놓았더군요. 보일러에 난방 모드가 세 가지가 있습니다. 온돌, 실내, 예약 이렇게 있는데, 그것을 설명서는 친절히 이렇게 적어 놓았더군요.

온돌 – 보일러를 온돌 모드로 동작시킵니다.
실내 – 보일러를 실내 모드로 동작시킵니다.
예약 – 보일러를 예약 모드로 동작시킵니다.

좀 어이없죠. 사실 보면서 내심 온돌과 실내 모드의 차이가 뭘까 고민을 했었거든요. 보일러는 스팀이 나오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벽에 파이프가 들어있을리도 없으니깐요. 설명서를 한 세 번 읽고 나도 여전히 어떤 모드로 써야 되는지를 모르겠더군요. 대충 보니 온도 센서 달린 위치가 틀린 것 같긴 하지만 어디까지 추측입니다. 그러면서 문득 떠오르는 코드,

[CPP]// i 값을 증가 시킵니다.
++i;[/CPP]
그리곤 드는 생각 -- 나도 저런 글만 쓰고 있는 건 아닐까?

한적함의 로망도, 샤워 부스의 로망도, 통유리 창문의 로망도 없고,
이제 남은 건 티비와 출근 프리미엄뿐이군요.


여기 가시면 가사를 번역해 둔 것이 있답니다.
 Prev   1   Next 
codewiz’s Blog is powered by Tattertools.com / Designed by fai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