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짜 프로그래머의 일상사~@@
프로그래밍, 컴퓨터, 그리고 일상에 관한 소소한 이야기들...
Blog | Guestbook
Keyword | Local | Tag
T 131 / Y 700 / Total 3405189
Catergories
Calendar
«   2023/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
타이거월드, 함수, 공간, 메모리 해킹, 희소, phpschool, 드림걸즈, 브래들리,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 해외 아동 후원, 키노트, 전화, 홍진호, 델파이, 이윤열, 펜팔, dp.SyntaxHighlighter, 막기, 열혈남아, vim,
Archive
Link
Search
  submit
Recent Articles
Recent Comments
Recent Trackbacks
2007/08/24 18:03
마이크로소프트웨어
[GGG]
저는 매달 마이크로소프트웨어를 읽습니다. 예전엔 정기 구독을했고, 지금은 필자라서 한 권씩 보내주는 걸 받아서 보고 있죠.

특히 서광렬님, 최재훈님, 안윤호 아저씨의 칼럼을 좋아합니다. 세 분의 칼럼을 좋아하는 이유는 사뭇 다릅니다. 서광렬님의 칼럼은 늘 제가 궁금했던 부분이나 신기한 것에 관한 것을 담고 있어서 좋아합니다. 최재훈님의 칼럼은 재미있고 유익하기 때문에 좋아하죠. 아마 제 생각에 마소를 보는 독자중에 가장 많은 사람들이 보는 내용이 최재훈님의 칼럼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만큼 재밌고 유익합니다. 안윤호 아저씨의 칼럼은 그 분의 박식함에 매료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분의 글에서 뿜어져 나오는 포스는 정말 감당이 완되죠. 글을 읽을 때마다 전 늘 이렇게 생각합니다.

"어떻게 이렇게 많은 것을 알 수 있을까? 사람이 아닐꺼야."

이번 달에 연재된 안윤호 아저씨의 칼럼 중에서 공감가는 내용이 있어서 소개해 봅니다.
사람들은 자기가 파악할 수 있을 정도의 복잡성을 좋아하고 그 이상은 사실 효율적이기 보다는 머리를 아프게 할 때가 많다. 하지만 아무리 복잡한 일도 자기가 관리할 수 있는 복잡성 이상으로 운영할 수는 없다.
토할만큼 공감가는 말이죠.
돌려보면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말과도 유사합니다.

이번 달 안윤호 아저씨의 칼럼이 저에겐 저 말의 증명이었습니다.
그간에 연재된 칼럼의 경우는 너무 어려워서 이해하기 힘든 경우가 많았죠.
자연스럽게 제가 처리할 수 있는 복잡도를 넘어가니 흥미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조금 쉬운 내용을 담고 있는 이번 달 칼럼은 무척 재밌었습니다.

앞으로는 디지털 토이 제작과 관련된 내용을 쓰신다고 합니다.
한 때 관심 분야 였기에 더욱 기대가 됩니다.
재미난 토이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인두기랑 납을 준비해야 되는 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인두기랑 납하니까 옛날 생각이 나는군요.

CodeWiz가 임베디드를 떠난 까닭은?
저의 첫 병역특례 회사는 임베디드 장비를 만드는 회사였습니다. 그 때 제가 처음 맡았던 프로젝트는 IP540이라는 장비를 운용하는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것이었죠. IP540이란 기계는 196kc 마이크로컨트롤러가 있었고, lcd, 랜카드, 몇 개의 버튼, 바코드 리더기 정도가 달려있는 생산 자동화 장비입니다. 그 때 전 윈도우 프로그래밍이란 일에 한참 염증을 느꼈던 때라 임베디드 프로그래밍이 굉장히 신선했습니다. 회로도 보고, 레지스터를 조작하고, 모든 것을 직접 만들기 때문이었죠. 코머 아저씨의 책을 벗삼아 열심히 프로토콜도 공부하고 했습니다. 그렇게 저의 첫 작품은 모 업체에 납품되어서 성공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랜카드 칩셋과 씨름한 무수한 날들이 눈녹듯 사라지는 그런 날이었죠.



제가 다음으로 맡게된 프로젝트는 굉장히 위험한 것이었습니다. 전력선 통신 모듈을 개발하는 것이었죠. 이게 왜 위험한고 하니 전력선 통신이라는 것이 220볼트를 그대로 통신 선로로 사용하는 것 입니다. 따라서 테스트 장비또한 220볼트가 그대로 들어오죠. 회로에 결함이 있다면? 내지는 프로그램의 결함이 있다면 골로 가는 겁니다. 5볼트로 장난치는 디지털 세상과는 조금 다르죠. 이 때 사용한 칩은 PIC이었습니다. 8비트 칩이었죠. 단지 전등과 스위치를 연동시켜서 통신으로 켜고 끄는 간단한 일이었습니다. 이 간단한 일이 얼마나 힘든지를 뼈져리게 느꼈죠. 그 때 당시 결국 스위치를 연동해서 사용하는 것 까지 구현은 했으나 실용성은 제로 였습니다. 왜냐하면 노이즈가 조금만타도 전혀 동작되지 않았기 때문이었죠. 패리티나 CRC 같은 것들은 완전 쓸모없는 환경이었습니다. 하여튼 그 때 저는 실험 도중 그놈의 스위치가 폭발하는 것을 두번이나 보았고, 그 다음 부터는 사실 칩을 새로 구워서 테스트 하는 것도 두려웠습니다. 그렇게 저의 두번째 프로젝트는 대실패로 돌아갔고, 저는 결국 임베디드를 떠나 다시 윈도우 프로그래밍으로 돌아왔습니다.

그 때 저에게 김실장님이 하신 말이 아직도 생각나는 군요.
김: "왼손 잽이는 이쪽에서 일하면 안돼."
신: "왜 그런가요?·
김: "왼손있는데 바로 심장이 있잖아. 까딱하면 골로 가는거야...ㅠㅠ"

Trackback : http://jiniya.net/tt/trackback/559
caesars casino online free slots 괴짜 프로그래머의 일상사~@@ - 마이크로소프트웨어 http://Tesisatdiyaloglari.com/forum/index.php?topic=16.0 2020/06/03 17:20
"토토사이트 괴짜 프로그래머의 일상사~@@ - 마이크로소프트웨어 http://visitbookmarks.com/story.php?title=different-casino-online-strategies 2020/08/16 11:09
환상경 (2007/08/24 20:03)
후헐;;; 까딱하면 골로;;;;;
섬뜻하군요 -0-
codewiz (2007/08/25 01:30)
네. 저도 그 때는 상당히 무서웠어요. ㅎㅎ
220볼트 실험실도 무서웠지만 IP540을 설치하는 환경도 무섭드라고요.
공장에서 맨손으로 전선 까고 연결하는 ㅠㅠ.

rockenrollz (2007/08/24 23:13)
"왼손있는데 바로 심장이 있잖아. 까딱하면 골로 가는거야...ㅠㅠ"

정말 섬뜻...
codewiz (2007/08/25 01:31)
오른손 잡이는 상관없을까??
오른쪽에도 머 있을거 같은데. ㅋ

welding services denver (2021/11/29 23:13)
Awesome! Learned alot thanks so much keep posting more.

Name   Password   Home   Secret   Submit
 Prev   1  ...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604   Next 
codewiz’s Blog is powered by Tattertools.com / Designed by faido